본문 바로가기
컬러사전

컬러 리브랜딩 사례

by 오후세시 하루 2025. 5. 14.
728x90

 

1. 스타벅스 (Starbucks) – 초록색의 정체성 강화

스타벅스 로고 변천사  (사진출처: https://archive.starbucks.com/record/the-evolution-of-our-logo)

변화:
2011년 스타벅스는 로고에서 ‘STARBUCKS COFFEE’라는 글씨를 제거하고 초록색 세이렌(인어) 심볼만 남겼다.

이유:

  • 브랜드가 커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됨(음료, 베이커리, 굿즈 등)
  •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해 색상과 심볼만으로도 인식 가능하도록 함

결과:

  • 초록색은 지속 가능성, 신선함,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
  • 전 세계 어디서든 스타벅스 로고만 봐도 브랜드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됨

2. 맥도날드 (McDonald’s) – 빨강+노랑 → 녹색+노랑

맥도날드 로고

변화:
유럽을 중심으로 패스트푸드의 건강 이슈가 커지면서 맥도날드는 기존의 강렬한 빨강+노랑 조합녹색+노랑으로 변경했다.

이유:

  • 패스트푸드의 건강 문제를 의식한 친환경 이미지 구축
  • 유럽 시장에서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로 인식 변화

결과:

  • 소비자들이 더 건강한 브랜드로 인식
  • 브랜드 충성도 증가, 환경을 생각하는 이미지 강화

3. 마스터카드 (MasterCard) – 단순화된 로고와 컬러 유지

마스터카드 로고

변화:
2019년, 마스터카드는 기존의 빨강-노랑 원형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브랜드명을 제거했다.

이유:

  • 디지털 시대에 맞춰 심플하고 직관적인 디자인 선호
  • 브랜드명 없이도 두 개의 원만으로도 브랜드 인지 가능

결과:

  • 카드뿐만 아니라 모바일 결제, 디지털 플랫폼에서도 브랜드 일관성 유지
  •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현대적인 감각 강화

4. 버거킹 (Burger King) – 레트로 감성 리브랜딩

버거킹 로고 변화 (사진출처: https://ditoday.com/%EC%9E%98-%EB%82%98%EA%B0%80%EB%8D%98-%EB%B2%84%EA%B1%B0%ED%82%B9-%EB%A1%9C%EA%B3%A0%EB%A5%BC-%EC%99%9C-%EB%B0%94%EA%BF%A8%EC%9D%84%EA%B9%8C/)

변화:
2021년, 버거킹은 1999년부터 사용하던 3D 블루 컬러가 포함된 로고를 없애고, 1970~80년대 레트로 감성의 오렌지+브라운+레드 톤 로고로 변경했다.

이유:

  • 과거 버거킹이 더 신선한 재료를 사용했던 때의 감성을 되살리기 위함
  • 레트로 트렌드를 반영해 따뜻하고 친근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

결과:

  • 소비자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면서도 현대적인 느낌 유지
  • 패스트푸드 브랜드 중 가장 성공적인 리브랜딩 사례로 평가받음

5. 인스타그램 (Instagram) – 블루 → 그라디언트 컬러

인스타그램 로고 변천사 (사진출처: https://namu.wiki/w/%EC%9D%B8%EC%8A%A4%ED%83%80%EA%B7%B8%EB%9E%A8)

변화:
2016년, 인스타그램은 기존의 폴라로이드 카메라 형태의 로고(갈색+크림색+파랑 포인트)를 버리고, 핑크-오렌지-퍼플의 그라디언트 아이콘으로 변경했다.

이유:

  • 모바일 중심의 감각적인 이미지 강화
  • 젊고 다채로운 플랫폼의 성격을 강조

결과:

  • 직관적으로 ‘인스타그램’임을 인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아이콘이 됨
  • 사용자들이 더 트렌디한 SNS로 인식

6. 페이팔 (PayPal) – 블루 계열의 현대적인 변화

변화:
2022년, 페이팔은 기존의 연한 파란색을 더 깊고 강한 블루 계열로 변경하고, 로고 폰트도 현대적으로 수정했다.

이유:

  • 신뢰감을 주는 블루 컬러를 유지하면서도 더 강한 브랜드 정체성 구축
  • 모바일과 디지털 환경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

결과:

  • 핀테크 시장에서 더 강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
  • 블루 컬러가 가진 신뢰감과 보안성 강조

컬러 리브랜딩의 핵심 포인트

  1. 브랜드 인지도 강화 – 스타벅스, 마스터카드처럼 컬러 자체가 브랜드를 대표하는 경우
  2. 트렌드 반영 – 인스타그램, 버거킹처럼 시대의 감각에 맞춘 디자인 변경
  3. 소비자 인식 변화 – 맥도날드처럼 건강한 이미지 강조를 위해 컬러 변경
  4. 디지털 환경 적응 – 페이팔처럼 디지털 플랫폼에서 더 가독성이 높은 컬러로 변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