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컬러사전

브랜드가 선택한 컬러

by 오후세시 하루 2025. 5. 7.
728x90

글로벌 브랜드들이 컬러를 선택하는 기준과 이유는 브랜드 정체성, 소비자 심리, 문화적 영향, 업계 트렌드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브랜드들이 컬러를 선택하는 핵심 요소를 살펴보자.


1. 브랜드 정체성과 컬러의 연관성

컬러는 브랜드가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가장 강력한 요소이다. 브랜드의 가치와 철학에 맞춰 컬러가 결정된다.

  • 코카콜라 (빨강) → 열정, 활력, 즐거움
  • 스타벅스 (초록) → 자연 친화적, 신선함, 지속 가능성
  • 페이팔 (파랑) → 신뢰감, 보안, 기술적 안정성

이처럼 브랜드의 핵심 가치와 컬러가 일치해야 소비자들이 무의식적으로 브랜드를 떠올릴 수 있다.


2. 소비자 심리와 컬러 선택

컬러는 소비자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브랜드는 타깃 고객의 심리를 고려하여 색을 선택하게 된다.

컬러 연상 의미 적용 브랜드
빨강 에너지, 자극, 열정, 식욕 자극 코카콜라, KFC, 넷플릭스
주황 창의성, 활기, 친근함 나이키, 페덱스, 허미스
노랑 긍정적, 행복, 따뜻함 맥도날드, 스냅챗
초록 신선함, 자연, 지속 가능성 스타벅스, 홀푸드, 애플 (환경 관련)
파랑 신뢰, 안정감, 기술 삼성, 페이스북, IBM, 페이팔
보라 고급스러움, 창의성, 미스테리 카덜락, 야후, 밀카
검정 세련됨, 고급스러움, 강한 이미지 샤넬, 나이키, 애플
흰색 순수함, 간결함, 미니멀리즘 애플, 소니, 자라

예를 들어, 페이스북과 삼성은 신뢰와 기술적 안정성을 강조하기 위해 파란색을 사용하고, 맥도날드는 식욕을 자극하는 노랑과 빨강을 조합해 사용한다.


3. 산업별 컬러 트렌드

각 산업에 따라 컬러의 사용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① 테크 기업 → 파랑 & 보라 계열

  • 신뢰와 보안이 중요한 금융 및 IT 업계는 파랑을 선호 (예: 삼성, IBM, 페이팔, 인텔, 페이스북)
  • 혁신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브랜드는 보라 계열을 사용 (예: 야후, 밀카)

② 패션 & 뷰티 → 검정, 흰색, 뉴트럴 컬러

  • 명품 브랜드는 블랙을 사용해 고급스러움을 강조 (예: 샤넬, 프라다, 구찌)
  • 미니멀리즘을 강조하는 브랜드는 흰색을 사용 (예: 애플, 플러스마이너스제로)

③ 식음료 → 따뜻한 계열 (빨강, 주황, 노랑)

  • 식욕을 자극하는 브랜드는 따뜻한 계열 컬러 사용 (예: 코카콜라, KFC, 맥도날드, 도미노피자)

④ 친환경 & 웰니스 → 초록 계열

  • 지속 가능성과 자연 친화적 이미지를 강조 (예: 스타벅스, 홀푸드, 바디샵)

 

4. 컬러 리브랜딩의 필요성

브랜드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춰 컬러를 리브랜딩하기도 한다.

  • 스타벅스 → 초록색을 더 강조해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강화
  • 맥도날드 → 유럽 시장에서 빨강을 줄이고 초록색으로 전환
  • 버거킹 → 레트로 감성을 살려 클래식한 색감으로 회귀

결론: 컬러는 브랜드의 정체성을 말해준다

컬러는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첫인상이자, 브랜드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고려해 색상을 선택해야 하고
  • 산업별 컬러 트렌드와 소비자 심리를 분석해 컬러를 적용해야 하며
  • 글로벌 브랜드는 지역별 문화 차이를 반영해 컬러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