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39

[단어] 레임덕(Lame Duck) 현상 레임덕(Lame Duck) 현상은 주로 정치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권력의 정점에 있는 지도자나 조직이 임기 말기에 이르러 권력과 영향력이 약화되는 상황을 의미한다."절뚝거리는 오리"라는 뜻으로, 원래는 사냥에서 부상당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오리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정치에서는 주로 대통령, 총리, 또는 주요 지도자와 관련하여 사용된다.레임덕 현상의 특징권력 약화임기가 끝나갈수록 차기 지도자가 주목받고, 현 지도자의 권위가 약화된다.정책 집행력과 정치적 영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정책 추진력 상실임기 말에는 정치적 결정이나 정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후임 지도자의 정책 우선순위가 달라질 가능성 때문에 국회나 관료들이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내부 균열지도자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2024. 12. 27.
[단어] 듀프 소비 듀프소비는 "Dupe"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Duplicate"(복제하다)의 줄임말이다. 이는 고가의 명품이나 인기 제품과 유사하지만 훨씬 저렴한 대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 행태를 의미한다.듀프소비의 배경명품과 고가 브랜드의 가격 상승: 많은 소비자가 명품을 원하지만 부담스러운 가격 때문에 대체재를 찾게 된다.소비자 정보의 공유: SNS나 커뮤니티를 통해 “가성비 좋은 듀프 제품”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듀프 제품의 인기가 높아졌다.가치 소비 트렌드: 실용적이면서도 합리적인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듀프소비를 강화했다.듀프소비의 특징가성비 추구비슷한 품질과 디자인을 가진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한다.SNS와 인플루언서 영향인플루언서들이 "명품 대신 이것!"이라고 추천하는 제품들이 바이럴되면서.. 2024. 12. 23.
[단어] 디토 소비 ‘디토 소비’는 “나도 그거 샀어!” 라는 의미를 가진 ‘Me too’와 소비를 결합한 개념으로, 특정 제품이나 트렌드를 따라 구매하는 소비 행태를 의미한다. 특히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유행하는 상품들이 빠르게 퍼지면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구매한 제품을 보고 영향을 받아 같은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을 보인다.특징트렌드에 민감SNS에서 유명해진 제품이나 인플루언서가 추천한 제품을 따라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사회적 증명 효과다른 사람들이 좋다고 하는 제품은 자연스럽게 신뢰감을 주고, 이를 통해 구매 결정을 내리게 된다.공동체 의식같은 제품을 사용하면서 타인과의 일체감을 느끼고 싶어 하는 심리도 디토 소비를 부추긴다.FOMO (Fear of Missing Out)유행에 뒤처지거나 놓칠까 봐 두려.. 2024. 12. 19.
[패턴] 헤링본, 쉐브론, 하운즈투스 체크 [패브릭(fabric) 패턴]헤링본(Herringbone) 은 물고기 뼈 모양을 사선 방향으로 서로 엮이게 짜 맞춘 듯한 패턴이다. 하운즈 투스 체크(hound tooth check)는 사냥개의 뾰족한 이빨과 닮은 패턴이다. [나무 바닥(wood flooring) 패턴] 우드 플로링에서는 헤링본과 쉐브론 패턴의 차이가 잘 드러난다.헤링본 패턴을 만드는 나무 모듈은 온전한 직사각형으로 끝부분이 서로 엮이게 하여 사선 형태를 만든다. 쉐브론은 V자형의 사선을 만든다. 반으로 접으면 양쪽이 똑같은 데칼코마니 같다.쉐브론 패턴을 만드는 나무 모듈은 직사각형이 아닌 방향성이 있는 사선 모양이다.    + 덧붙여  V자형이 돋보이는 이 가죽의 패턴은 쉐브론이다. 2024. 5. 3.
[책]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역사, 철학, 과학, 의학, 예술 등 각 분야 최고의 서울대 교수진들이 2017년 여름부터 매월 펼쳐온 다양한 주제의 강의들을 책으로 옮긴 「서가명강 시리즈」.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과 교양을 선사하는 시리즈의 제1권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의 교수이자,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자문을 담당하고 있는 유성호 교수의 교양강의를 바탕으로 한 책이다. 20년간 1500건의 부검을 담당하며 누구보다 많이 죽음을 만났고, 누구보다 깊이 죽음을 고찰한 저자는 죽음을 가까이 할 때 역설적으로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법의학과 관련된 폭넓은 경험들, 죽음을 둘러싼 수많은 논제들, 죽음에 관한 정의들을 소개하며.. 2022. 4. 10.
[단어] NFT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 블록체인에 소유권이 기록됨. 블록체인은 체인을 계속 연결하듯이 기록 추가는 가능하지만, 수정이나 삭제는 불가능 함. FT(Fungible Token): 대체가능토큰 민팅(minting): 디지털 아트를 NFT화하는 작업 가스피(gas fee): 민팅, 구매, 판매 시 발생하는 수수료. 가상화폐로 결제 NFT 아트: NFT라는 매개체를 통해 작품이 거래되는 시장 크립토 아트 crypto art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트 최근에는 실물작품을 디지털화 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태생부터 디지털상으로 만들어진 작품과는 차이가 있다. 저작권: 해당 자산을 재생산 복제할 권리, 파생 상품을 만들 권리, 사본을 배포할 권리, 공개적으로 전시 및 공.. 2022. 3. 25.
[단어] 라비키움 Larchiveum 라비키움 Larchiveum 도서관(Labrary), 기록관(Archives), 박물관(Museum)을 합성한 신조어로 2008년 메간 위젯(Megan Winget)이 처음 제시하였다. 라비키움은 교육, 연구, 문화의 세 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통합형 정보 제공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한 장소에서 다양한 정보 자원에 접근할 수 있으며, 지식을 확장하고 탐색할 수 있다. 2018. 1. 14.
[book] 기획의 정석 [Focus] 연상회로 * 왜? 기획배경 problem * 뭐? 제안내용 solution * 한마디로? 콘셉트 concept * 실행방안 action plan * 스토리텔링 storytelling [4MAT] * 1단계 why * 2단계 what * 3단계 how * 4단계 if - why를 5번 물어볼 것! -> 5why 진짜 why를 찾기 위해 [Definition] Logic Tree [Dividing] * 누가누가 잘게 쪼개나 * 누가누가 의미있는 단위로 묶나 * 누가누가 의미를 잘 부여 해주나 * 누가누가 이름을 잘 지어주나 - 의미단위 - 공통점/그룹핑/패턴 - 100개만 해보자 [Concept] 왜? * 의미있잖아(허세거리) - meaningful thing * 대세잖아(안심거리) - meg.. 2014. 5. 6.
[book] 동아시아를 만든 열가지 사건 * 청일전쟁 (1894-1895) 동학농민운동->청, 일본군대파견->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청일전쟁->청 패배, 대만할양 * 러일전쟁 (1904-1905) 조선철도부설권->러시아와 일본대립->일본승리->을사조약->1910합방조약 * 신해혁명 (1912) 쑨 원 임시대총통 / 중화민국 마지막 황제 (1988) * 제1차 세계대전 (1914.8-1918.11) * 한국3.1운동 중국 5.4운동 * 만주사변 (1931.9.18-1937.7.7) 중국 9.18사변/일본 만주국 점령 * 중일전쟁 (1937.7-1945.일본항복) 난징대학살 * 아시아.태평양전쟁 (1941.12.8-1945.8.15) 제2창 세계대전 일본의 포스단 선언, 항복 * 한국전쟁 (1950.6.25-1953.7.27) * 베트남전쟁 (19.. 201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