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단어] 제로섬 게임(Zero-Sum Game)

by 오후세시 하루 2025. 1. 20.
728x90

01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은 게임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참여자들 간에 총 이익과 총손실의 합이 항상 0이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즉, 한 사람이 얻는 이득이 다른 사람의 손실과 정확히 같기 때문에 누군가의 성공은 반드시 누군가의 실패를 의미하는 구조이다.


제로섬 게임의 핵심 원리

  1. 고정된 자원의 분배
    • 참여자들 사이에서 분배될 자원의 총량이 정해져 있다.
    • 누군가 더 많이 가져가면, 다른 사람은 덜 가져갈 수밖에 없다.
  2. 이익과 손실의 균형
    • 총 이익(Win) = 총 손실(Loss)
    • 결과적으로 이들의 합은 항상 0이 된다.
  3. 경쟁적 상황
    • 제로섬 게임은 주로 경쟁적 관계에서 나타난다. 협력보다는 대립적인 성격을 띠며, 상대방을 이기기 위해 전략을 짜야한다.

예시: 제로섬 게임 상황

1. 경제적 사례

  • 주식시장:
    한 사람이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이익을 얻으면, 그 주식을 비싸게 산 다른 사람은 손해를 본다.

2. 스포츠 경기

  • 축구, 테니스, 체스 등 1:1 또는 팀 대결 구조에서는 한쪽의 승리가 다른 쪽의 패배를 의미한다.

3. 도박

  • 포커나 블랙잭처럼 돈을 주고받는 게임에서는 한 사람이 얻은 돈이 다른 사람이 잃은 돈과 정확히 같다.

4. 정치적 상황

  • 한 국가가 무역 협상에서 이득을 보면, 상대 국가가 손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제로섬 게임의 특성

  1. 한정된 자원
    • 자원의 총량이 고정되어 있어 참여자들이 서로 경쟁해야만 한다.
  2. 경쟁적 사고방식
    • 제로섬 게임에서는 '내가 이기려면 상대가 져야 한다'는 사고가 지배적이다.
  3. 상대방의 손해를 추구
    •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상대방의 손해를 초래하는 전략이 사용된다.

제로섬 게임과 논제로섬 게임

논제로섬 게임(Non-Zero-Sum Game)

  • 제로섬 게임과 달리, 참여자들이 협력함으로써 모두가 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이다.
  • 예: 협력적 무역, 기업 간 협력, 생태계에서의 상호의존 관계

차이점

구분 제로섬 게임 논제로섬 게임

총 이익과 손실 항상 0 0이 아니며, 모두가 이익을 볼 수 있음
관계 경쟁적 관계 협력적 관계
결과 승자와 패자가 명확함 상호 이득 가능성이 있음

제로섬 게임의 비판과 한계

  1. 자원의 고정성에 대한 비판
    • 현실에서는 자원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 예를 들어, 협력과 혁신을 통해 자원의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상호협력의 무시
    • 제로섬 게임 사고방식은 협력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불필요한 경쟁을 초래할 수 있다.
  3. 불필요한 갈등 조장
    • 경쟁이 심화되면서 비효율적인 결과(예: 과도한 비용 지출, 관계 악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제로섬 게임 사고방식의 실제 사례

  1. 국제 무역
    • "다른 국가가 이익을 보면 우리 국가는 손해를 본다"는 인식은 제로섬 사고방식에 기반한다.
    • 하지만, 무역은 협력적 구조를 통해 모든 국가가 이익을 볼 수 있는 논제로섬 게임이 될 수 있다.
  2. 직장 경쟁
    • 승진이나 프로젝트 배정에서 "한 명이 이득을 보면 다른 사람이 손해를 본다"는 관점은 제로섬 사고방식이다.
    • 그러나 팀워크를 통해 모두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제로섬 게임의 현대적 활용

게임 이론

  • 제로섬 게임은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을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
  • 예: 협상 전략, 가격 책정, 마케팅 경쟁

인공지능 개발

  • 체스나 바둑 같은 게임은 제로섬 게임 구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설계된다.
  • 예: 딥마인드의 알파고

결론

제로섬 게임은 자원이 제한적이고 경쟁이 강한 상황에서의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제로섬 게임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협력과 혁신을 통해 모두가 이익을 얻는 논제로섬 게임 구조로 바꾸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