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단어] 베블런 현상이란? – 가격이 오를수록 더 잘 팔리는 역설적인 소비 심리

by 오후세시 하루 2025. 5. 12.
728x90

01

 

1. 베블런 현상(Veblen Effect) 정의

베블런 현상(Veblen Effect)이란, 상품의 가격이 높아질수록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경제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들지만, 명품이나 고급 브랜드 제품은 반대로 가격이 비쌀수록 더욱 인기 있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 개념은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테인 베블런(Thorstein Veblen)이 1899년 저서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에서 처음 제시했다.
그는 부유층이 과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2. 베블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1) 희소성 & 차별화 욕구

  • 가격이 높을수록 희소성이 강조되며, 대중과 차별화된 소비를 원하는 심리가 작용
  • 한정판 제품이나 프리미엄 브랜드가 인기를 끄는 이유

2) 사회적 지위와 명품 소비

  • **고가 브랜드(샤넬, 루이비통, 롤렉스 등)**를 소유함으로써 부와 성공을 과시
  • 부유층뿐만 아니라 MZ세대도 ‘플렉스(Flex) 소비’ 트렌드에 영향을 받음

3) 가격이 곧 품질이라는 인식

  • 비싼 제품 = 높은 품질이라는 고정관념
  • 실제 성능과 관계없이, 브랜드 가치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더욱 구매를 원함

4) 마케팅 전략과 한정판 효과

  • 명품 브랜드는 가격을 낮추지 않고, 한정판·컬래버레이션 상품을 출시하여 희소성을 극대화
  • "지금 사지 않으면 기회를 놓친다"는 FOMO(Fear of Missing Out) 심리 자극

3. 베블런 효과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례

🏆 (1) 명품 브랜드 & 하이엔드 제품

  • 샤넬, 에르메스, 루이비통, 롤렉스 등 고가 브랜드 제품
  • 가격이 오를수록 더욱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대표적인 사례

🚗 (2) 슈퍼카 & 한정판 자동차

  • 람보르기니, 페라리, 벤틀리 등 초고가 자동차
  • 희소성과 상징성으로 인해 가격이 높아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음

💎 (3) 다이아몬드 & 고급 보석

  • 희소성과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가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

🏡 (4) 초고가 아파트 & 부동산

  • 가격이 높을수록 오히려 선망의 대상이 되며, 부유층이 선호

(5) 한정판 컬래버레이션 제품

  • 나이키 한정판 스니커즈, 루이비통 X 슈프림 컬래버레이션
  •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높은 인기를 얻음

4. 베블런 현상의 장점과 단점

장점

프리미엄 브랜드 가치 상승 → 기업이 브랜드의 희소성과 명품 이미지를 유지 가능
고급 시장 활성화 → 명품·럭셔리 산업 성장에 기여
소비 심리 자극 →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역할

단점

비효율적인 소비 → 실제 필요보다 브랜드 가치만을 보고 지출
계층 간 소비 격차 심화 → 경제적 불평등을 조장할 위험
가격 거품 발생 가능성 → 브랜드 가치만으로 가격이 높아지면서 거품 경제를 초래할 수도 있음


5. 베블런 현상을 극복하는 방법

💡 (1) 합리적 소비 습관 기르기

  • 브랜드 가치보다 실제 필요성과 품질을 고려하여 소비하는 습관 형성

💡 (2) ‘가성비’ 중심 소비 트렌드 활용

  • 최근 MZ세대에서는 명품 대신 ‘조용한 럭셔리(Quiet Luxury)’ 트렌드 확산
  • 품질이 좋으면서도 과시적이지 않은 제품을 선호하는 흐름

💡 (3) 브랜드에 대한 객관적 시각 가지기

  • 명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을 인지하고, 가성비 높은 대체 상품 탐색

💡 (4) 중고 & 리세일 시장 활용

  •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트렌비, 크림, 리본즈 등)을 이용해 경제적 소비 실천

6. 결론 – 베블런 현상, 럭셔리 소비의 양면성

베블런 현상은 명품과 프리미엄 브랜드가 더욱 인기를 끄는 이유를 설명하는 중요한 경제 개념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과시적 소비보다는,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기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