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단어]리터러시(Literacy)란? – 정보 홍수 시대에 꼭 필요한 생존 역량

by 오후세시 하루 2025. 6. 23.
728x90

01

1. 리터러시(Literacy)의 기본 개념

리터러시(Literacy)는 전통적으로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서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분석하고, 비판하며, 생산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즉, 리터러시는 단순한 문해력을 넘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핵심 역량이다.


2. 리터러시의 다양한 유형

리터러시 종류 설명
기초 리터러시(Basic Literacy)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기초적인 언어 능력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을 활용해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활용하는 능력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TV, 뉴스, SNS 등 다양한 매체 정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
정보 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 필요한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선택하는 능력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데이터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능력
시민 리터러시(Civic Literacy)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며 민주적 시민의식을 실천하는 능력

3. 왜 지금 리터러시가 중요한가?

  • 정보 과잉 시대: 넘쳐나는 정보 중에서 무엇이 진짜인지 판단해야 함
  •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 비판적 사고 능력이 없으면 쉽게 속을 수 있음
  • AI 시대의 생존 도구: 생성형 AI가 만들어내는 할루시네이션 정보를 걸러낼 수 있어야 함
  • 개인 브랜딩과 표현: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의견을 표현하는 능력이 경쟁력이 됨

4. 리터러시 교육이 중요한 이유

리터러시는 학교 교육에서부터 직장, 사회 전반에 이르기까지 평생 학습의 핵심 요소이다.
특히 다음 세대에게는 단순한 정보 소비자가 아니라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시민으로 성장하게 해주는 기반이 된다.


5. 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한 실천 방법

  • 다양한 매체 접하기: 뉴스, 책, 영상, 팟캐스트 등 폭넓은 정보 활용
  • 출처 확인하기: 정보의 신뢰성 판단 습관 들이기
  • 비판적으로 질문하기: "왜?" "어디서?" "누가?" 질문 던지기
  • 정보 요약하고 재해석하기: 읽은 내용을 자신의 언어로 정리
  • 콘텐츠 직접 제작해보기: 글쓰기, 영상 제작, 블로그 운영 등

6. 결론 – 리터러시는 시대를 읽는 힘이다

리터러시는 더 이상 단순한 언어 능력이 아니다.
변화하는 사회에서 정보를 읽고, 해석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종합적 역량이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끊임없이 정보를 요구하고 있고, 그 속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힘은 바로 ‘리터러시’에서 나온다.             

댓글